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스테이블 디퓨전 Prompt 사례 - Pony 모델

 스테이블 디퓨전으로 이미지 생성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첫번째는 Checkpoint 이고 그 다음이 Prompt 라고 생각한다. prompt 는 checkpoint 에 따라 잘 반응하는 명령어가 있고 어떤 것은 별로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checkpoint 에 따라 prompt 를 적용하여 많은 이미지를 생성해 보아야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Pony 모델에서 여러가지 이미지에 따른 prompt 를 설명하고 싶다. checkpoint : littleoctopusmixMF_v20 를 사용하여 최종 prompt 로 만든 이미지 1. 기본 prompt 구조 (masterpiece), best quality, highres, (detailed:1.2), (sensual lighting), (provocative art), <캐릭터 묘사 (더 자세하게)>, <의상>,<행동/포즈 묘사 >, <배경 묘사>, <분위기/스타일 묘사>, <추가 퀄리티 태그> 약간 섹시한 이미지를 만드는 프롬프트 기본 구조이다. 2. 캐릭터 묘사 alluring young woman : 개략적인 케릭터 설명 flawless porcelain skin : 피부 long dark eyelashes : 긴 속눈썹 small delicate nose : 작고 섬세한 코 soft rosebud lips : 부드러운 장미색 입술 Messy bun , Curtain bangs : 헝클어진 머리, 앞 머리  Prompt : (masterpiece), best quality, highres, (detailed:1.2), (sensual lighting), (provocative art), alluring young woman, flawless porcelain skin, long dark eyelashes, small delicate nose, soft rosebud lips, Messy bun , Curtain bang...

스테이블 디퓨전 - PONY, Illustrious 모델들 살펴보기

 스테이블 디퓨전에서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Checkpoint 이다. Checkpoint 모델들은  대략  SD1.5 --> SDXL --> SD3.5 , Pony(ani.) , Illustrious(ani.), Flux,  Sana, HiDream   등이 오픈 소스로써 로컬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은 Checkpoint 모델들은  대략  SD1.5 --> SDXL --> SD3.5 , Pony(ani.) , Illustrious(ani.) 들이고  Flux , Sana 그리고 HiDream 모델은  스테이블 디퓨전과 또 다른 모델들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있는 모델들이다. 나는 이중에서 스테이블 디퓨전 과 Flux 모델을 주로 애용하고 있으며,  요즈음  Pony, Illustrious 모델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많이 생성하고 있는데  이 모델들은 주로 애니 망가 카툰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에 탁월한 기능을 발휘한다. Pony 모델의 원조 쯤 되는 모델이미지 이번 글에서는 주로 이 모델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1. 모델 다운로드 모델이 공개된 플랫폼중 가장 많이 애용하는 곳은  Civitai 사이트 이다. 이곳은 Pony 모델 뿐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 Checkpoint 모델과  Lora 모델 , 많은 이미지들을 얻을 수 있다.  이 사이트에서 필요한 모델을 찾아 다운로드 하면 된다. 2. Pony, Illustrious 모델의 특징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에서 'Pony'와 'Illustrious' 모델은 특정 스타일이나 특징을 가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훈련된 커스텀 체크포인트 모델이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기본적으로 텍스트 프롬프트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모델이지만, 사용자들이 특정 데이터셋으로 추가 학습...

5월의 어느날에 만든 AI 이미지들 - Stable Diffusion, Flux

 5월의 어느날에 만든 쓸만한 이미지들 카페 앞에서 잠시 영원한 사랑 남편을 기다리며 ...... 오후의 휴식 달빛 아래에서 꽃향기에 뭍힌 여인

쇄골 골절 과 수술 그리고 경과

쇄골 골절이란 사고가 발생하였다.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여러가지 크고 작은 사건 사고를 당하게 된다. 그런 예기치 못한 불행한 사고가 발생할 때 마다 느끼는 것은  항상 참고 견디면 시간이 해결해 준다는 것이다. 쇄골 부분 얼마전에  아내가 잠자기위해 몸을 눕히는 과정에 침대에서 떨어져 쇄골이 골절되었다. 일요일 새벽 2시경.   아내의 비명소리에 잠을 깬 상태에서 몸을 웅크리며 비명을 지르고 있는 아내를 발견 하였고, 몸을 일으킬려고 만질려고 하니 손도 못대게 비명을 질러댄다. 머리에서는 오만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우선 추측하기로는 어딘가 어깨쪽 뼈가 부러졌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계속 고통으로 비명을 지르다고 점차 고통이 견딜만 하게 되어 아내는 잠시 침대위에 누웠다. 가만히 침대에 누워 있을때는 고통이 참을만 하였나보다. "119를 불러서 응급실을 가야하나?"  하는 고민이 생겼는데, 침대에 가만히 누워있는 아내가 살며시 잠이 들었다.   응급실에 가도 당장 숨넘어갈 부상이 아니면 검사하고 걍 대기할 것으로 생각되어 , 잠을 자게 놔두고 계속 지켜보았다.  머리도 다쳤을 경우를 생각하여 계속 지켜보고, 별 이상이 없이 잠자는 것을 보고 새벽 6시쯤 간단한 아침 식사를 해 주고 자가용으로 가까운 종합병원 응급실로 갔다. 응급실 의사의 진단대로 엑스레이 찍어 보니 오른쪽 쇄골이 골절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났다. 수술을 해야하는 부상이기에 병원 전문 정형외과 의사선생님과 통화 후 , 빨라도 수요일에 수술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오늘 당장에라도 수술을 받았으면 좋겠지만 대기자들이 있어서 어쩔수 없다고 한다. 우선 병원에 입원하여 수술을 받기로 하였다. 일요일 오후에 담당 정형외과 의사선생님의 진료로 수술을 화요일 오후에 하기로 하였다. 일일이 여삼추란 말이 이럴때 쓰나 보다. 쇄골 골절상태에서 증상은 가만히 있으면 통증을 견딜 정도로 약한데,  앉아서 눕거나 ...

HiDream AI model - 오픈 소스 이미지 생성모델

 HiDream-I1은 HiDream.ai 팀(중국)에서 2025년 4월에 공개한 새로운 오픈소스 이미지 생성 모델이 다. 최근에 stable diffusion 이나 Flux 와 비슷한 오픈소스 이미지 생성 모델이 출시가 되어 comfyui 를 통하여 한번 사용해 보았다. HiDream AI 1. 주요특징 오픈소스: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연구할 수 있다. 고성능: 170억 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어, 몇 초 안에 높은 수준의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스타일: 텍스트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사진, 만화, 예술 등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hidream_e1_full_bf16.safetensors  이나  hidream_i1_dev_bf16.safetensors  모델은 크기가 34G 정도로 크기 때문에 VRAM 27G 이상으로 16G 이하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hidream_i1_dev_fp8.safetensors  모델은 16G 이하에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역시 flux 보다 생성 속도는 느리다.   상업적 이용 가능: MIT 라이선스를 따르므로 개인 프로젝트, 과학 연구, 상업적 용도로 생성된 이미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QuadrupleCLIPLoader 를 사용하기 때문에 4개의 CLIP 모델이 필요하다. 2. CLIP 모델, Diffusion 모델 및 VAE download Comfyui 를 이용하여 HiDream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최신의 comfyui 로 업데이트를 먼저하고  다음 사이트에서 순서대로 다운받아 정해진 폴더에 저장하면 된다. workflow 역시 다운받아 사용할 수있다. 해당 사이트는 구글에서 "comfyui hidream" 으로 검색해도 알 수있다.  ( https://comfyanonymous.github.io/ComfyUI_examples/hidream/ ) 3. Workflo...